주요연구 및 사업
재학생 역량진단 및 만족도 조사
- 선문 핵심역량 진단검사, 선문 학습역량 진단검사,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검사(K-CESA) 3종 연간 실시
- 재학생 만족도 조사, 교육과정 현황 및 요구조사, 교수학습과정에 관한 설문조사(NASEL) 3종 연간 실시
- 선문 IR센터 포럼, 연간 조사 및 역량 진단검사 결과 설명회, ‘한 눈으로 보는 선문(인포그래픽)’등 다양한 방법으로 결과 환류
- 교육 만족도 조사 관리 체계
『교육 만족도 관리 규정』에 근거하여 재학생, 유학생, 졸업생 대상 만족도 조사를 관리함
만족도 조사 주관부서, 실행부서, 관계부서 간 협업을 통해 교육 수요자 만족도 수준 향상을 위해 체계적으로 관리함

대학 교육 및 경영 관련 데이터 분석·연구
- 대학 교육 및 경영 관련 주제 선정, 교내·외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 및 결과 보고서 발행
- 유관부서와의 주기적 간담회를 통하여 현황 파악 및 유의미한 연구 결과 공유
2021학년도 대학 교육 및 경영 관련 데이터 분석·연구
- 데이터 수집 및 관리 지침 마련을 위한 사례조사
- 중도탈락 학생 특성요인 분석
- 입시 전략 수립을 위한 입시정보 데이터 분석
- 신입생 입학결정요인 조사 및 분석
- 선문 학습역량 진단검사 타당화 분석
- 고등 교육 통계 관리 기초 설계
데이터 리터러시 역량 교육
- 교내 구성원(직원, 교수)의 데이터 리터러시 역량 향상을 위한 연 1~2회 주기적인 교육 실시
- 설문조사 문항개발, 데이터 전처리 방법, 통계 프로그램 활용 교육 등
주요 연구 및 사업
구분 | 세부 업무 | 실시 시기 | |
---|---|---|---|
재학생 역량 진단 및 만족도 조사/시스템 통합관리 |
학생역량 | 선문 핵심역량 진단검사(SM-CESA) | 10-11월 |
대학생 핵심역량 진단검사(K-CESA) | 10월 | ||
신입생 학습역량 진단검사 | 4월 | ||
만족도 조사 |
교수학습 과정에 관한 조사(NASEL) | 6월 | |
재학생 대학생활 만족도 조사(가칭) | 8-9월 | ||
종합분석 /환류 |
한 눈으로 보는 선문(인포그래픽) | 1-2월 | |
선문 IR포럼, 교내 설명회 | 2학기 | ||
학생 지원 부서, 학생 간담회 | 상시 | ||
교육만족도 관리 체계 |
교육수요자 만족도 기반 부서 컨설팅·개선과제 도출, 개선과제 실행, 점검 | 2학기 | |
교육 수요자 만족도 종합분석보고서 | 1-2월 | ||
시스템 | 역량진단 설문조사 시스템 통합관리 | 상시 | |
대학교육 및 경영관련 데이터 분석/연구* |
대학 교육 정책 연구 | 상시 | |
대학 경영 정책 연구 | 상시 | ||
데이터 분석 연구, 조사 형태(미정) 예) 기획처 산하 타부서 조사 및 분석 지원 |
상시 | ||
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교육 |
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교육(직원) | 연 1회 | |
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교육(교수) | 연 1회 |